전체 글5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사람 만나는 일을 합니다 - 정현종<방문객> 정신건강사회복지사와 관련된 글을 꾸준히 올리는 티스토리를 시작해본다. 이 공간은 때때로 나를 돌아보는 반성의 공간이 될 수도 있고, 정신건강전문요원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는 공간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.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함이겠지. 정신건강사회복지사에 대한 이야기를 몇 번 적었던 네이버 블로그가 있는데, 그건 약간 일상&맛집 블로그가 되어버려서... 정신건강에 대한 이야기만을 깊이 할 수 있는 티스토리를 개설했다. 여기서는 더 진지하게 고민하며 적어나갈 수 있을 것 같다.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이라는 시를 읽어본 사람은 많을 것 같다. 그중 참 와닿는 부분, "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. - (중략)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" 이 부분은 정신건강사회복지사가 하는 일을 이해.. 2020. 4. 13.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- 배경, 주요 개념 임상 현장에서 상담을 하다 보면 정신과적 증상이 결코 환자의 증상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. 환자는 가족, 학교, 직장 더 나아가 사회문화 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. 학지사의 [사례로 배우는 가족상담과 가족치료]라는 책은 정신건강전문요원을 꿈꾸는 수련생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. 하루에 조금씩 정리해 볼까 한다. p.140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의 배경과 특징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은 인본주의와 실존주의를 배경으로 지금-여기에서의 주관적인 체험을 중시함. 경험의 질적 측면이 개인의 심리적 건강을 판단하는 근거가 되며 치료적 개입의 초점이 된다.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은 실존주의의 영향도 많이 받았는데, 실존주의는 어떤 사실 자체보다는 개인의 지금-여기에서의 주관적이며 실존적인 체험을 더 중시하는 관점을.. 2020. 2. 25. 이전 1 2 다음